











Unveiling the 2024 Calendar:
Sharing the Inspiration Behind It.
The first time I thought about making a calendar was at the end of last year, 2022. It was during the pandemic when I dug out my trusty enlarger that had been accumulating dust in my darkroom for a long time and started taking pictures again. It hasn’t been a year since I resumed photography. For the calendar, I decided on the theme of nature and I gave myself a year to capture photos.
Around autumn, I used the cost as an excuse to give up on the plan. The truth was, I didn’t have the confidence to create all 12 pieces that I am satisfied with within the printing order deadline. If it weren’t for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friends, I probably wouldn’t have been able to finish it.
Tagore confessed, “I abandon everything on the earth at twilight and return to your arms.” Even when we are watching the same sunset, the stories unfolding in our hearts are unique. The reason twilight is so beautiful is perhaps because it is so fleeting.
Now, I am releasing just around 20 copies, a special limited edition. I attempted to encapsulate my personal stories within each piece, inspired by the fleeting beauty of nature, much like a momentary and ephemeral encounter.
After completing a project, there’s often a sense of accomplishment along with the usual taste of bitter-sweetness. I was happy because turning my works into a calendar was not a means to gain something, but rather, the activity itself was the goal.
To Gi, who inspired the initial idea of showcasing my works in any form, to Yeonji, who provided courage and support when thoughts of giving up crossed my mind, and to Yumin and Dongwook. Without them, I wouldn’t have been able to achieve this. A special thanks to these caring friends who guided me throughout.


“달력을 만들어 볼까?”라는 생각을 처음 한 것은 작년말 쯤이었다. 오래동안 암실 구석에서 먼지가 쌓여가던 확대기를 다시 꺼낸것이 Pandemic 때였으니 다시 사진을 찍기 시작한지 1년이 지나지 않은 시기였다. 달력에 실을 사진 촬영에는 나 스스로에게 1년의 시간을 주었고 주제는 자연으로 정했다.
가을 쯤 비용을 핑계 삼아 계획을 포기했었다. 품질 좋기론 미국보다 한국에서 제작하는 것이 좋은데 문제는 운반이었다. 비용도 고려해야 했지만 실은 인쇄주문 시한 안에 마음에 드는 12개의 작품을 모두 완성할 자신이 없어서였다. 친구들의 격려와 응원이 없었다면 해내지 못했을 것이다.
타고르는 ”나는 황혼 녘에 지상의 모든 것을 버려두고 당신의 품 안으로 돌아갑니다.“라고 황혼의 아름다움을 고백했다. 같은 노을을 보고 있어도 우리들 각자의 마음속에 펼쳐지는 이야기는 각기 다르다. 또 그만큼 황혼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것이 우리곁에 있는 시간이 너무나 짧기 때문일게다.
이번 사진 선정 과정에서 나는 찰라와 같은 짧은 시간에 내게 영감을 준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 하나하나의 작품속에 내 이야기가 담겨있는 작품들로 모아 보았다.
마지막까지 결정을 미루다가 동네 인쇄소에서 서둘러 제작하다 보니 단 20여개의 밖에 만들지 못했고 생각지도 않은 special limited edition이 되어버렸다.
어떤 일을 마치고 나면 무언가를 해냈다는 성취감과 함께 언제나 처럼 아쉬움도 느끼기 마련이다. 내 작품들을 어떤 형태로든 이렇게 펴내는 행위가 무엇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이 경험 자체가 목적이었기에 그 시간 내내 행복했다.
처음에 내 작품들을 어떤 형태로든 펴내야겠다는 영감을 준 지연, 포기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을 때 용기를 주며 응원해준 연지, 유민, 그리고 동욱. 이 소중한 이들의 격려가 없었다면 이 달력은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이 모든 소중한 이들에게 특별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